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유난히도 뜨겁고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여름도 한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자매모임도 여름 동안 잠시 쉼을 가진 후, 독서의 계절인 가을을 맞아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더운 여름을 지나며 성도님들께서는 하나님의 은혜로 평안히 지내셨는지요? 몸과 마음이 지친 성도님들께 하나님께서 풍성한 위로와 긍휼을 베푸시길 기도합니다. 이번 가을의 시작을 여는 책은 지난 7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으신 존 맥아더 목사님의 《양심실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오래전에 구입해 두었으나 바쁘다는 이유로 펼치지 못하다가, 이번 자매모임을 계기로 읽기 시작했습니다. 첫 장을 읽으면서 “왜 이제야 이 책을 읽게 되었을까” 하는 스스로에 대한 책망이 있었습니다. 그만큼 이 책은 제게 너무나 유익했고, 마치 성경 다음으로 제 양심에 심장충격기(제세동기)를 대는 듯한 강렬한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 책을 함께 읽게 될 성도님들도 같은 은혜를 경험하시리라 생각하니, 한편으로는 매우 기대되고 기쁩니다. 병은 그것을 인식하는 순간부터 치료가 시작된다고 하지요. 우리의 마음의 병인 죄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은 이 책 1부의 1장을 성도님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들어가는 말 9p 나는 우리가 하나님의 심판 아래 놓여 있는 후기 기독교 사회에 살고 있다고 확신한다. 하나님이 이 문화를 타락 속에 내버려 두셨다는 것을 많은 증거가 보여 주고 있다. 이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이자 교회의 유일한 합법적 사명은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구속하고 세상에서 부르신 각 개인에게 죄와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내버려 두셨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하나님이 보우하시고 기도로 시작된 이 나라가 지금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져 있습니다. 개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옳은 가치를 지키려 했던 대통령은 감옥에 갔고, 저 역시 큰 낙심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일이 하나님의 주권 아래 이루어진다는 믿음으로, 하루하루 이 마지막 시대를 버티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1부 죄로 물든 사회 1장 대체 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18P 사실 오늘날에는 온갖 죄를 저지른 사람들이 자신을 용서하는 법을 배운다는 얘기를 흔히 듣는다. 그러나 그것은 용서라는 단어를 오도하는 것이다. '용서'는 죄의 인정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오늘날 자신을 용서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사실 개인의 죄라는 개념은 철저히 부인한다. :자신의 죄를 인정하면 일이 잘못된다고 여기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오늘날 범죄자들은 죄를 지었기 때문이 아니라, 마음의 편안함을 얻기 위해 자백한다고 합니다. 결국 "죄의식" 자체를 갖지 않는 것이며, 책 제목처럼 이미 "양심 실종"의 사회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21P 사람들은 이제 죄의식을 더 이상 심각한 것으로 다루지 않는다. 몇몇 심리치료사와 정신과 전문가들은 죄의식을 인생에서 모든 즐거움과 재미를 앗아갈 수 있는 근거 없는 감정으로 규정했다. 상담 칼럼의 제목이 눈길을 끈다. "그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사람의 내면을 진지하게 다루기보다 돈벌이에 치우쳐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듣기 좋은 말만 늘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담 칼럼조차 교회에서도 흔히 보이는 광고성 썸네일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책을 통해 부패가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25P 오늘날 미국에서는 가장 극악한 범죄를 저지르고도 무죄 판결을 받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단순히 정신적, 혹은 감정적 무질서와 혼란에 책임을 돌리면 되는 것이다. 혹은 왜 그 일에 대해 책임이 없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고통을 만들어 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우리 사회가 너무 깊이 썩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죄를 질병으로 보는 관점이 사회를 이렇게 만든 큰 원인 중 하나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27p [정신 장애의 진단과 통계를 위한 지침서]라는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애' 목록을 열거하고 있다. ·행동 장애- 다른 사람의 기본권을 해치고 각 연령에 합당한 사회의 주요 규범이나 규칙을 어기는 행동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유형. ·반항 장애- 부정적이고 적대적이며 반항적인 행동. ·히스테리성 인격 장애- 과도하게 감정을 드러내고 관심을 보이는 전반적 장애. ·반사회성 인격 장애- 유년기나 초기 청소년기에 시작되어 성인이 된 뒤에도 계속되는 무책임하고 반사회적인 행동 유형. :그러나 성경은 이것을 분명히 ‘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기본권을 해치는 일이 ‘질병’이라는 이유로 법적으로 허용되는 현실은 매우 두렵습니다. 31p "나는 아프다"는 말은 "내가 죄를 지었다"는 말보다 하기 쉽다. 그것은 결코 치료법이 아니다. 오히려 연약함과 영원한 심판을 단계적으로 확대시키는 엄청나게 비참한 속임수일 뿐이다. :진짜 고쳐야 할 ‘죄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치유하지 못하는 세상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33p 사회가 개인의 책임이라는 개념을 확고히 했던 시절 사람들은 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들은 국가가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묻지 말고 자신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물으라는 말을 들었다.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사회주의 체제로 급격히 넘어갈 때 이런 정신들이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요즘 아이들 역시 권리만 주장하려 하고, 책임은 지려 하지 않습니다. 38p 우리가 건강한 양심에게서 진심 어린 인정을 받지 않고 어떻게 참된 자아 존중감을 가질 수 있겠는가? :‘죄책감’은 ‘양심’이 있는 한 피할 수 없는 감정입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점점 죄를 건강하게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스스로 없애 버리고 있는 것 같아 많이 안타깝습니다. 39p 매닝거(20년 전 심리치료사)는 복음주의적인 사람은 아니었지만 사회적 행동 문제의 원인을 철저히 도덕과 무관한 것처럼 다루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지를 명확히 보았다. 메닝거는 그것이 영혼과 사회의 구조를 잠식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죄로 규정해야 할 행동들이 분명히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리학자들이 이런 문제를 다룬 글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20년 전 심리학자의 글을 여전히 인용한다는 점에서 드러납니다. 이제는 양심적인 심리학자조차 찾기 힘든 시대가 되어 버렸음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