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컬럼

  • 커뮤니티
  • 성도컬럼
  • 발람의 길 : 순종인가, 탐욕인가조회수 : 26
    • 작성자 : 이규환
    • 작성일 : 2025년 5월 22일 9시 2분 56초
  • 발람의 길 : 순종인가, 탐욕인가

     

    성경에 짐승이 말하는 장면은 두 군데다. 창세기에서 뱀이 이브에게 말하는 장면과 민수기 22장에서 나귀가 말하는 장면이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나귀가 어떻게 말을 할 수 있을까? 가 아니라, 나귀가 말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 무엇이었을까? 이다.

     

    민수기 22장은 성경 속에서 독특하고도 교훈적인 인물인 발람을 조명한다. 그는 겉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려는 대언자였지만, 실상은 그 마음속에 숨겨진 탐욕과 야망으로 인해 하나님의 책망을 받은 인물이다. 겉과 속이 달랐던 그의 행보는 오늘날 우리 신앙인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모압 왕 발락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아모리 족속을 물리치고 그 땅을 차지했다는 소식을 듣고 두려움에 빠졌다. 그는 이스라엘이 마치 들의 풀을 핥아먹는 소처럼 자신과 자기 민족을 삼켜버릴까 봐 염려하였다. 이 두려움에 그는 점술로 명성이 높았던 브올의 아들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하려 했다. 발락은 말한다. “그대가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고, 그대가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는 줄 내가 아노라”(22:6).

     

    처음 발람은 이 요청에 대해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하나님께서는 명확히 말씀하셨다. “너는 그들과 함께 가지 말고, 그 백성을 저주하지도 말라. 그들은 복받은 자들이니라”(22:12). 발람은 이를 그대로 전하고 사신들을 돌려보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는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정직한 대언자처럼 보인다.

     

    그러나 진짜 시험은 그 다음부터 시작된다. 발락은 더 높은 고관들과 더 많은 보상을 약속하며 두 번째 사절단을 보낸다. 이때 발람은 다시 하나님께 묻는다. 하나님께서는 이번에는 그들과 함께 가되 내가 네게 이르는 말만 하라고 허락하신다(22:20). 허락하신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단호한 금지가 아닌 조건부 허락이었다. 발람의 마음이 어디를 향하는지 시험하시는 하나님의 방식이었다.

     

    그리고 바로 다음 구절에서, 하나님은 발람이 출발하자 곧바로 분노하신다. “그가 갔으므로 하나님의 분노가 타올라서 주의 천사가 대적이 되어 그를 치려고 길에 서니라”(22:22). 이는 발람이 순종의 가면을 쓰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물질적 보상과 존귀를 기대하며 하나님의 뜻을 흥정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은 그의 길을 비뚤어진 길이라 판단하셨다(22:32).

     

    그 결과 하나님은 나귀를 통해 놀라운 일을 행하신다. 나귀가 주의 천사를 보고 길을 세 번 피하고, 결국 발람의 매를 맞은 뒤 입을 열어 말한다. “내가 주인께 무슨 일을 하였기에 주인께서 나를 이같이 세 번이나 때리시나이까?”(22:28). 하나님께서는 나귀를 통해 발람의 영적 눈을 열게 하시고, 자신이 걷는 길이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 것임을 스스로 깨닫게 하신다.

     

    이후 발람은 발락을 만나 이스라엘을 저주하려 했지만, 하나님께서 그의 입을 주관하셔서 축복의 말씀만 나오게 하신다. 그는 총 네 번에 걸쳐 대언하였고, 그 내용은 이스라엘의 형통, 하나님의 주권, 그리고 장차 오실 메시아에 대한 대언까지 포함한다. 그의 입에서 나온 말은 실제로는 거룩한 하나님의 계시였다. 그러나 그 말의 전달자였던 발람의 마음은 여전히 두 마음을 품은 상태였다.

     

    이러한 이중적인 발람의 모습은 신약 성경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베드로후서 215절은 그를 불의의 삯을 사랑한 자로 규정하고, 유다서 111절은 그가 대가를 따라 달려간자로 언급한다. 그리고 요한계시록 214절에서는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을 우상 숭배와 음행에 빠뜨린 장본인임을 폭로한다.

     

    그런데, 민수기 23장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모압과의 행음이 발람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22장을 아무리 읽어봐도 나오지 않는다. 3116절을 보면 발람의 짓이라는 것이 나온다. ‘보라, 이들이 발람의 조언에 따라 이스라엘 자손을 유혹하여 브올의 사건에서 께 범법을 저지르게 하였고, 이로써 의 회중 가운데 재앙이 있었느니라.’

     

    결국 발람은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대언자의 외형을 지녔으나, 내면은 세상의 영광과 보상을 향한 욕망으로 가득했던 자였다. 하나님은 그런 발람을 미친 자, 그의 길을 비뚤어진 길로 규정하신다. 이는 단지 당시의 한 인물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깊이 경고하는 말씀일 것이다.

     

    우리의 신앙은 발람처럼 겉으로만 하나님을 섬기고 속으로는 세상의 명예와 유익을 따르고 있지는 않은가? 하나님의 뜻을 묻는 척하지만, 이미 마음은 세상의 제안에 기울어 있는 것은 아닌가?

     

    발람의 길은 결국 파멸(칼에 맞아 죽음)과 책망의 길이었으며, 그 이름은 영적 타락의 대명사로 성경에 기록되었다. 하나님께서는 단지 우리가 그분의 이름을 입으로 부르는 것을 원하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 깊은 동기까지도 순전하기를 바라신다고 믿는다. 발람의 이야기는 우리로 하여금 겉과 속이 하나인, 전심으로 하나님을 따르는 참된 순종의 길을 다시 묵상하게 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텔레그램으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